본문 바로가기

보트정보

요트의 종류들

우리나라 요트 역사

우리나라에서도 오랜 범선의 역사를 찾아볼 수는 있습니다. 서구와 같은 개념의 요트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1930년경 연희전문학교의 언더우드씨가 한강변의 배 목수를 시켜 요트를 제작합니다. 황해 요트클럽이라는 이름으로 한강하류에서 활동한 것이 요트의 효시라 할 수 있습니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제는 요트 금지령을 내려서 요트를 제작하거나 타는 행위를 금지했습니다. 하지만 광복 이후 미군들이 타기 시작했습니다. 1960년부터는 내국인들 중에서도 개인적으로 요트를 제작하여 즐기는 사람들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동호인의 단체를 구성하거나 이를 보급하려는 시도는 없었습니다. 본격적으로 요트 보급이 활기를 띠기 시작한 것은 1970년입니다. 몇몇 동호인들이 한강변 광나루에 호수용 턴 클래스 20척을 합판으로 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대한요트클럽을 설립하면서부터입니다. 이 클럽은 대학생을 중심으로 활기를 띠었으나 1972년 대 홍수로 인해 모두 유실되는 불행을 당하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이 클럽의 동호인들은 이에 굴하지 않고 다시 힘을 모아 국제 스나이프 클래스와 국제 오케이 딩기 클래스를 제작하였습니다. 1974년 4월 대한조정협회에 요트부를 신설하고 요트경기 보급에 나서게 됩니다. 1979년 3월 17일 드디어 대한요트협회를 창립되면서 본격적인 보급단계에 들어섰습니다. 대한체육회와 세계요트연맹에도 가입하였습니다. 1986 서울아시안게임과 1988 서울올림픽, 2002 부산아시안게임을 거치면서 꾸준히 발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경기력도 조진섭 선수가 1984 LA올림픽 윈드글라이드급, 심이섭&강왈수 선수조가 1982 인도 붐베이아시안게임 엔터프라이즈급에 출전한 것을 시작으로 향상되었습니다. 박길철 선수가 1986 서울아시안게임과 1990 부산아시안게임 레이저급에서 첫 2연패를 이룩하였습니다. 김대영&정성안 선수조는 1998 방콕아시안게임, 2002 부산아시안게임, 2006 카타르아시안게임 470급에서 3연패를 이룩하였습니다.

 

1998 방콕아시안게임 금6개 은1개 동3개였습니다. 2002 부산아시안게임 금6개 은2개 동2개를 땁니다. 아시아 최고의 성적을 거두며 경기력에 많은 발전을 가져왔습니다. 2005년 세계청소년요트대회, 2006년 세계레이저클래스선수권대회, 2006년 세계포뮬러윈드서핑대회를 개최하였습니다. 2009년에는 세계요트연맹 연차 총회를 부산에서 개최하여 국위를 선양하였습니다. 지구상에 요트의 종류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습니다. 그 모양과 크기도 다양합니다. 요트는 누구나 능력이 있으면 자기가 설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판매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많은 요트 중에 성능과 안전성이 뛰어난 클래스는 6개국 이상에서 각 국가당 20척 이상 실시되고 있으면 국제클래스로 공인받고 있습니다. 이 중 국내에는 약 10개 종목, 아시안게임에서는 14개 종목, 올림픽에서는 10개 종목이 실시되고 있습니다.

 

요트의 종류

다양한 요트는 선체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크게 딩기, 킬보트, 멀티헐, 윈드서핑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먼저 딩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딩기는 엔진과 선실을 갖추지 않고 주로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항해하는 소형 요트. 연안과 강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엔진과 선실을 갖추지 않은 1~3인용의 소형 세일 요트를 가리킵니다. 엔진이 없이 작은 돛과 바람의 힘으로만 움직이기 때문에 주로 연안이나 강 또는 호수에서 레포츠용으로 사용됩니다. 윈드서핑도 딩기에 속합니다. 선실과 엔진을 갖춘 세일 요트는 크루저라고 구분합니다. 특히 외국에서는 규모가 큰 배를 요트라고 부릅니다. 작은 돛배는 세일 딩기라고 부릅니다. 딩기는 크루저와는 달리 밸러스트가 없기 때문에 바람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으면 쉽게 전복됩니다. 올림픽경기대회의 요트 종목은 모두 딩기를 이용합니다. 전장과 전폭, 세일 면적, 선체 중량, 승정 인원수에 따라 16개 종목으로 나뉩니다. 올림픽 10개 종목 중 6개가 딩기종류입니다. 킬보트는 요트의 옆 흐름을 막기 위해 킬의 일부분을 깊게 만든 정, 센터 보드 정과 구별하는 명칭입니다. 요트 중에는 복원력을 크게 하기 위해 킬 하부에 철이나 납으로 된 추를 단 것이 있습니다. 그와 같은 킬을 밸러스트 킬, 또는 헤비 킬이라 부릅니다. 또 단지 옆으로의 흐름만을 막기 위해 고기 지느러미처럼 얇은 것도 있는데, 그것을 핀 킬이라 부릅니다. 중앙에 두꺼운 철판을 붙여 무게 중심을 낮추어 배의 복원력을 좋게 한 배로서 먼 바다 항해에 적합합니다. 올림픽에는 2개 종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선실이 없는 단일형 킬보트와 선실이 있는 대형 킬보트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선실이 없는 단일형 킬보트는 세계요트연맹에서 관리하며 올림픽 종목은 여기에 해당합니다. 선실 이 있는 대형 킬보트는 먼 바다 항해에 주로 사용됩니다. 멀티헐은 선체가 두 개 이상인 요트를 말합니다. 선체가 두 개인 배는 카타마란, 3개인 배는 트라이마란이라 부릅니다. 배 속도가 빠른 것이 특징입니다. 윈드서핑은 판 위에 세워진 돛에 바람을 받으며 파도를 타는 해양 스포츠입니다.1967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컴퓨터 기사인 호일 슈바이처와 항해사 출신의 짐 드레이크가 공동으로 창안한 스포츠입니다. 윈드서핑은 파도타기 판 위에 요트의 돛을 부착하는 발상에서 생겨낫습니다. 특징은 돛기둥을 수직으로 고정시킨다는 기본개념을 타파, 움직이는 연결쇠를 사용하여 돛기둥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해놓습니다. 돛을 미는 바람의 압력중심이 이동함에 따라 방향을 자유로이 정하게 되어 있습니다. 돛은 엔진과 키의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됩니다. 항해는 파도에 대한 판의 균형과, 돛의 바람에 대한 균형을 조정해 나가는 것입니다. 윈드서핑은 오늘날 유럽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 ·중동 ·동유럽권 등에서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주로 바다에서 하고 있지만, 강이나 호수에서 자연과 인간이 일체가 되어 남녀노소 없이 원시항해의 즐거움을 맛볼 수 있다는 것이 이 스포츠의 장점입니다. 제1회 세계선수권대회는 1974년 미국 온테리오호에서 7개국 66명의 선수가 참가해서 열렸습니다. 그 후 제8회 일본 오키나와에서 열린 대회에는 40개국 600여명의 선수가 참가하였습니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습니다. 한국에는 1976년에 소개되어 일반에는 잘 알려지지 않습니다. 1980년 10월 권희범씨가 부산~대마도 간을 단독횡단함으로써 붐을 맞게 되었습니다. 삼면이 바다로 싸여 있고 강과 호수가 많은 한국은 윈드서핑을 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었습니다. 오늘날 많이 즐기는 곳은 대성리 ·청평 등의 한강 수역이며, 국산장비도 우수하여 손쉽게 장비를 구비할 수 있습니다.

'보트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열 캐리비언 크루즈  (0) 2020.09.15
보트의 역사  (0) 2020.09.12
해양배터리 유지법  (0) 2020.09.10
보트 유지보수 체크리스트  (0) 2020.09.09
보트 동형화와 청소법  (0) 2020.09.08